개발기록(3)
-
[바인드킷의 기록 #5] 바인드킷 1차 프리뷰
안녕하세요! 저는 바인드킷을 개발하고 있는 Kevin입니다. 🧑🏼💻 오늘은 바인드킷의 1차 프리뷰를 함께 소개해드릴려고 합니다. 바인드킷은 현재 0.0.28 버전을 지나고 있는 아직까지는 작은 프로덕트입니다 😘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그럼~ 바인드킷의 템플릿 웹사이트를 한번 볼까요! 현재 템플릿 사이트에서는 텍스트, 이미지, 토글, 버튼정도를 제공하고있고 각 섹션별로 2~4개의 테마를 가지고 있습니다. 각 테마별로 옵션이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고 색상이나 글자, 폰트크기 이미지 등 여러 가지 옵션들이 있습니다. 템플릿 사이트에서는 페이지를 삭제하거나 저장할 수 있고 버튼의 내비게이션 액션을 통해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옵션도 현재는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저장된..
2023.08.22 -
[바인드킷의 기록 #4] 한 발 전진하기
어제 오펜하이머 영화를 봤는데, 다 보고 나와서 느낀점은 복잡한 감정의 고리들과 수많은 사람들과의 고리가 영화의 마지막에선 한번에 정리되고 해소되는 느낌을 받으면서 개인적으로도 굉장히 힐링이 되는 영화였던거같다. 바인드킷이 가지고가야하는 수많은 프로덕트들과 프로덕트들 사이의 관계가 나를 매우 어지럽히고있었는데. 해당 영화가 많은 관계와 고리들을 정리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도움이 되었던것 같다. 바인드킷을 항상 고민하면서도 바인드킷 스스로 유기적으로 성장할수있는 프로덕트를 만들고싶었는데 이는 커뮤니티나 사람들이 모이는 플랫폼 같은 곳에서 자주 발생하는 현상이다. 소프트웨어는 단지 프로그래밍 되어있는데로 움직일 뿐이지만, 프로덕트 속에서 생산되는 사람들의 의견과 대립, 옹호와 비판사이에서 탄생하는 데이터 세포..
2023.08.17 -
[바인드킷의 기록 #3] 한발짝 더 물러서서 보기
지난 포스팅에서는 설문조사에 필요성을 깨닫는 중요한 여행을 했었다. 설문지에 대한 레퍼런스를 찾아보고, 여러 가지 단톡방에서 돌아다니는 설문들을 참여하고 분석하면서 다시 또 깨달은 게 한 가지가 있는데 설문을 작성할 때 내가 구체화하려는 방향에 대한 조사로써 설문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 말인즉슨 내가 구체적인 방향성도 없이 마냥 노코드툴을 개발하고 싶다는 일념으로 방향도 없이 헤딩한 거나 다름없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방향을 잡을 수 있을지 고민해 본 결과 내 프로덕트가 다른 프로덕트와 차별점이 있어야 생존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왔고 차별점 포인트들을 얻은 뒤, 시장에서 해당 차별점이 받아들여지는가를 조사하는 게 순서라고 생각하게 되었다. 해서, 나는 먼저 시장조사를 시작했고 생각 외로 꽤 많은 노코..
2023.08.11